사상과 일화

복원된 중앙학교 숙직실.학교 설립자 김성수, 중앙학교장 송진우, 교사 현상윤 등이 3·1운동 거사를 모의한 곳이다. 복원된 중앙학교 숙직실.
학교 설립자 김성수, 중앙학교장 송진우, 교사 현상윤 등이 3·1운동 거사를 모의한 곳이다.
안에서 총독부 탄압 견디며 자주역량 마련

인촌의 독립운동은 무력투쟁과는 관계가 없다. 어디까지나 비폭력 운동에 한정된다. 그러기 때문에 인촌의 독립운동은 항일이나 반일투쟁 보다는 실력배양에 그 방향과 역점을 두고 있다.

인촌의 독립운동은 직접적인 운동과 간접적인 운동으로 나누어진다. 직접적인 운동은 중앙학교를 중심으로 3·1운동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간접적인 운동은 교육, 산업, 언론을 일으킴으로써 민족의 역량을 키우는 운동으로 나타난다.

중앙학교 숙직실은 새로 지은 교사 앞 운동장 동남 편에 있었다. 기당(幾堂) 현상윤(玄相允)이 1916년에 와세다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인촌의 부름을 받고 중앙학교 교사로 부임하게 된다. 김성수, 송진우, 현상윤은 숙직실에서 침식을 같이 하면서 학교일을 상의하고 민족의 장래를 설계했다.

1918년에 독일이 항복으로 1차 대전이 종료됨과 더불어 6월에 열린 베르사유 회담에서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를 들고 나온다. 이러한 제창은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우리 지도자들의 독립에 대한 의식을 더욱 제고시켰고 국내에서도 일본의 무단정치에 시달리던 국내 각계 지도자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강하게 고취했다.

인촌, 고하, 기당 등의 중앙학교 팀도 이러한 분위기에 젖어서 밤낮으로 머리를 맞대고 숙의에 숙의를 거듭하게 된다.

여러 기관별로 독립운동에 대한 숙의가 일어났지만 그것은 실천의 결실을 보지 못하고 끝나고 말았다. 여기서 그러한 의식과 숙의를 결집시켜 행동으로 옮기는 데 중앙학교의 3인방 팀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천도교, 기독교, 동경유학생들, 학생단체 등이 서로가 만나게 하고 연결시켜 주고, 한데 모여서 합의를 도출케 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데 중앙학교 팀이 중심적 역할을 하고, 모의장소도 주로 숙직실이나 사택 또는 인촌의 가택이었다.

이 무렵 동경에서 2·8운동을 주도하던 백관수는 송계백에게 2·8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중앙학교 숙직실로 인촌, 고하, 기당을 찾아가도록 한다. 이들은 최남선을 불러 독립선언서를 읽어보도록 한다. 최남선은 감격하여 독립선언서를 인쇄할 수 있는 활자 보따리를 내주고 송계백에게 동경으로 가져가게 한다. 이때 인촌은 송계백에게 넉넉한 여비를 마련하여 준다.

인촌은 기왕 독립운동을 벌이려면 전국 방방곡곡의 백성들과 더불어 각계각층 지도자들을 전부 동원해서 일으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서 천도교의 손병희 이외에 민족의 대표자들로 박영효, 유길준, 윤치호, 이상재, 한규설, 윤용구 등을 설득해서 합류시키기로 한다. 설득작업은 주로 고하와 육당이 맡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같이 거절하고 만다. 이런 상황에서 처음에 적극적이던 최린과 최남선마저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뒤로 물러서게 된다.

이때 인촌은 종교단체가 천도교만 있는 게 아니고 기독교도 있지 않느냐고 반문하면서 기당(幾堂)으로 하여금 기독교계의 원로 지도자이자 오산학교 설립자인 남강(南崗) 이승훈(李昇薰)을 교섭토록 한다. 기당은 이승훈과 동향인 김도태를 만나 이승훈으로 하여금 이 운동에 참가하도록 진지하게 부탁한다. 김도태는 정주에 내려가 이승훈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그런데 같은 날 같이 일으키자고 한 동경 유학생 측에서 2월 8일에 거사했다는 연락이 왔다. 초조와 불안 속에 있던 중 드디어 1919년 2월 11일 이승훈이 인촌 집으로 찾아오게 된다. 남강도 이미 2·8독립선언을 알고 어린 학생들까지 독립운동을 외치는데 국내에서 가만히만 있을 수 없다고 하면서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다짐한다. 남강은 기독교계에는 감리교파와 장로교파가 있는데 이 두 파가 합치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하며 자기가 앞장서겠다고 20대의 젊은이들을 안심시킨다. 이때 인촌은 활동자금으로 수천 원의 돈을 내놓았다.

기독교 단체로만 거사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중앙학교 숙직실 팀은 몸이 달았다. 우선 이렇게 되면 거국적인 운동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고하는 이승훈을 찾아가 천도교와 같이해야 한다고 설득하지만 별로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다급해진 고하는 육당 최남선을 찾아가 사정을 알리자 육당은 남강, 고하, 기당과 같이 최린의 집을 찾아 간다. 여기서 우여곡절을 거쳐 비로소 기독교와 천도교가 연합전선을 펼치면서 구체적인 거사계획과 방법을 숙의하고 결정한다. 그리고 최린, 이승훈, 함태영 세 사람이 불교단체에도 참가할 것을 권유함으로써 한용운과 백용성이 합류하게 된다.

인촌이 이러한 모의과정에서 처음부터 일이 제대로 실천에 옮겨지지 않을까를 걱정하던 것을 이 모임에 참여한 이병헌의 기록을 보면 여실히 알 수 있다. 당시 인촌이 이야기한 내용이 지금도 귀에 들리는 것 같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사(百事)에 유시(有始)면 유종(有終)이니 초지를 관철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면 성실 정려(精勵) 근면해야 하고 백절불굴의 일심으로 임사무의(臨事無疑)하며 물위심급(勿爲心急)하고 의리를 존중하고 친우 간에 신의를 잃지 말아야 한다. - 이병헌 “내가 본 3·1운동의 일 단면”

위의 글은 인촌의 평소 생활과 정신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일에는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어야 하는데 그 끝을 보려면 성실하고 정성을 기울여야 하고 백절불굴의 마음가짐으로 일단 일에 착수하면 의심하지 말고 일하는 사람끼리 신의를 생명처럼 지켜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인촌의 실천에 대한 강한 뜻이 담겨 있다. 또한 이 운동에 찬성과 더불어 참여한다고 말은 하여 놓고 나중에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자세를 취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초조하고 불안해하는 심정도 담겨져 있다. 여기서 인촌의 실천의지가 얼마나 강한가를 알 수 있다. 인촌의 후속사업인 동아일보, 경성방직, 보성전문 등에도 3·1정신이 깊숙이 스며들고 있었다. 훗날 경성방직이 존폐의 위기에 처하게 될 때 인촌은 3·1정신을 생각해서라도 경성방직은 문을 닫을 수 없다고 주위 사람들을 격려하게 된다. 중앙학교는 3·1운동 후에도 계속해서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예컨대 3월 5일에 서울역전 광장에서 전개된 제2차 학생운동에도 전교생이 참가하였고 1926년의 6·10 만세운동에서도 중앙학교 5학년 학생들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위로가기